시카고학파 경제학

경제학 개념 & 이론

시카고학파 경제학

돈버는 경제학 기자 2025. 2. 13. 08:00

목차

1. 시카고학파 개요

2. 경제학파
2.1 시카고학파 경제학의 특징
2.2 시카고학파와 관련된 오해
2.3 시카고학파 경제학의 역사
2.4 현대 경제학에서의 시카고학파

3. 사회학파

4. 건축학파

5. 신학파

6. 결론: 시카고학파가 남긴 영향

 

 

시카고학파의 개념과 주요 이론

 

시카고학파란 무엇을까요?

시카고학파와 경제학의 역사와 특징, 현대 경제학에서의 시카고학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시카고학파 개요

 

시카고학파(Chicago School)는 시카고 대학교를 기반으로 형성된 학문적 전통을 가리킨다. 크게 경제학, 사회학, 건축학, 신학 등 여러 분야에서 독자적인 학문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그중에서도 경제학파가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시카고학파 경제학은 자유시장과 신자유주의 경제 이론을 기반으로 하며, 20세기 후반 이후 전 세계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경제학파

2.1 시카고학파 경제학의 특징
시카고학파 경제학은 신고전주의 경제학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자유시장 원칙을 강하게 주장하는 학파이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자유시장 중심
시장은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본다.

통화주의(Monetarism)
밀턴 프리드먼이 주장한 개념으로, 경제 정책의 핵심은 통화 공급을 조절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합리적 기대 이론(Rational Expectations Theory)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가 제시한 개념으로, 경제 주체들은 미래 정책 변화에 대해 합리적으로 기대하며 이에 따라 행동한다는 이론이다.

효율적 시장 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
유진 파마가 제시한 이론으로, 시장은 모든 정보를 반영하며, 장기적으로 초과 수익을 올리기는 어렵다고 본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시카고학파 경제학은 신자유주의(Neoliberalism) 경제학의 근간을 이루었으며, 1980년대 이후 전 세계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2.2 시카고학파와 관련된 오해
시카고학파 경제학은 종종 신자유주의와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되지만, 몇 가지 오해가 존재한다.

이론적으로만 접근하는 학파가 아니다
시카고학파 경제학은 현실 경제 문제를 분석하고 실용적인 정책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전적으로 정부 개입을 배척하는 것은 아니다
시장을 중시하지만, 일부 경우 정부의 역할을 인정하며, 재산권 보호와 법률적 규제 등은 필요하다고 본다.
모든 경제학자가 동일한 입장을 가진 것은 아니다
시카고학파 내에서도 다양한 이견이 존재하며, 일부 학자는 정부 개입의 필요성을 인정하기도 한다.

2.3 시카고학파 경제학의 역사
시카고학파 경제학은 신고전주의 물가 이론과 자유주의 경제학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1930년대
시카고 대학교 경제학부는 신고전주의 경제학을 바탕으로 연구를 시작했다.

1950~1960년대
밀턴 프리드먼을 중심으로 통화주의가 확립되었으며,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 개입보다는 통화 정책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1970~1980년대
합리적 기대 이론과 효율적 시장 가설이 등장하면서, 시카고학파는 거시경제학에서도 중요한 학파로 자리 잡았다.

1980년대 이후
로널드 레이건(미국)과 마거릿 대처(영국)의 경제 정책에 적용되며,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의 기반이 되었다.

2.4 현대 경제학에서의 시카고학파
현재 시카고학파 경제학은 전통적인 자유시장 중심 이론을 유지하면서도, 행동경제학과 실험경제학 등과 결합하며 발전하고 있다.

행동경제학의 등장
리처드 탈러는 인간이 반드시 합리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기존 시카고학파의 경제 이론을 수정했다.
신제도주의 경제학과의 융합
법경제학과 정치경제학에서 시장의 역할과 정부의 역할을 함께 고려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금융시장 연구의 확대
효율적 시장 가설을 기반으로 다양한 금융 이론이 발전했다.


3. 사회학파

시카고학파 사회학은 20세기 초반 도시화와 이민 문제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등장하였다.

도시사회학의 발달
시카고는 미국에서 급속히 성장한 대도시 중 하나였으며, 이 과정에서 도시 내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등장했다.
상징적 상호작용론
시카고학파 사회학자들은 인간이 사회적 환경 속에서 의미를 창조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행동을 결정한다고 보았다.
범죄사회학과 연구
시카고에서 갱단과 범죄 조직이 증가하면서, 범죄의 사회적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이 발전했다.


4. 건축학파

시카고학파 건축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미국에서 등장한 건축 양식을 의미한다.

철골 구조 건축의 발달
시카고학파 건축은 고층 건물 건축을 가능하게 한 철골 구조를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기능주의적 설계
실용성과 미적 요소를 결합한 디자인이 강조되었다.
현대 건축에 미친 영향
시카고학파 건축은 오늘날의 현대 건축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였다.


5. 신학파

시카고학파 신학은 주로 시카고 대학교 신학부에서 연구된 개념을 의미하며, 다양한 종교와 신학적 사상을 포함하고 있다.

종교와 현대 사회의 관계 연구
전통적인 신학과 현대 사회의 문제를 접목하여 연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유주의 신학과의 연결
사회 문제에 대한 신학적 접근을 강조하며, 종교가 사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6. 결론: 시카고학파가 남긴 영향

시카고학파는 경제학, 사회학, 건축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연구를 발전시켰으며, 현대 학문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경제학에서는 신자유주의와 시장 중심 정책의 근간이 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중요한 학문적 흐름으로 남아 있다. 사회학과 건축학에서도 시카고학파의 연구 성과는 여전히 중요한 학문적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경제학 개념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 경제학  (0) 2025.02.13
통화주의 경제학  (0) 2025.02.13
케인스학파 경제학  (0) 2025.02.13
신고전학파 경제학  (0) 2025.02.12
고전 경제학  (0) 2025.02.12